향정신성의약품은 사람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것으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하는 경우 인체에 심각 한 위해가 있다고 인정되는 물질이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의학적 유용성이 인정되어 의약품으로 쓰이는 것도 있고,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의학적 유용성이 없어서 의약품으로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환각, 각성, 수면 또는 진정 작용을 하며,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킨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해 지정되고 관리된다.
■ 종류
향정신성의약품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의 정도, 안전성 등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의학적 유용성이 인정되어 의약품으로 쓰이는 것도 있고,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의학적 유용성이 없어서 의약품으로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첫 번째 유형-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심하고 의료용으로 쓰이지 않으며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 는 물질
오용 또는 남용할 경우 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고, 주로 환각 작용을 나타낸다. 엘에스디 (LSD, lysergic acid diethylamide), 5-메톡시디메틸트립타민(5-MeO-DMT, 5-methoxydimethyltryptamin e), 사일로신(psilocyn), 부포테닌 등 총 69종의 물질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두 번째 유형-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심하고 매우 제한된 의료용으로만 쓰이는 물질
오용 또는 남용할 경우 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고, 주로각성 또는 마취 작용을 한다. 메틸 페니데이트(ADHD* 치료제), 케타민(전신마취제), 졸라제팜과 틸레타민 복합제(동물용 마취제) 등의 약물과 메트암페타민(필로폰), MDMA(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엑스터시) 등 총 44종의 물질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 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만성 질환이다. 증상들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어려 움이 지속되고, 일부는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남게 된다.
세 번째 유형- 첫 번째와 두 번째 유형의 물질보다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의료용으로 쓰이는 물질
오용 또는 남용할 경우 그리 심하지 않은 신체적 의존성을 일으키거나 심한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며, 중 추신경계를 억제하여 수면, 진정, 항경련 또는 마취 작용을 한다. 페노바르비탈(수면, 진정, 항경련제), 티오 펜탈(전신마취제) 등 바르비탈류* 약물들을 포함하여 총 62종의 물질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 바르비탈류(barbiturate, 바르비튜레이트, 바르비투르산염):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의 유도체로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진정제, 수면제 또는 마취제 등으로 사용된다.
네 번째 유형- 세 번째 유형의 물질보다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의료용으로 쓰이는 물질
오용 또는 남용할 경우 세 번째 유형의 물질보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킬 우려가 적다. 항불안, 진정, 수면, 항경련, 근육 이완, 식욕 억제 또는 기침 억제 등의 작용을 한다. 디아제팜, 알프라졸람, 로라제 팜 등의 벤조디아제핀계열 약물(항불안제, 진정제, 항경련제, 근육 이완제), 졸피뎀(수면제), 프로포롤(단시간 작용 전신마취제, 진정제), 펜터민, 펜디메트라진(식욕억제제), 덱스트로메토르판(진해제* ) 등 총 70종의 물질 이 이 분류에 해당된다.
* 진해제: 기침을 억제하는 약물
다섯 번째 유형- 첫 번째 유형~네 번째 유형의 혼합물질 또는 혼합제제
첫 번째 유형~네 번째 유형의 물질로 다시 제조하거나 제제할 수 없거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 으키지 않는 물질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으로 정하는 것은 제외한다.
■ 효능․효과
향정신성의약품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의약품으로 쓰이는 물질은 ADHD 치료제, 식욕억제제, 마취제, 수면제, 진정제, 진해제, 항경련제, 항불안제, 동물용 마취제 등으로 사용된다.
■ 부작용
가장 주의해야 할 부작용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이다. 이로 인해 사용하던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거나 용량을 줄였을 때 불안, 불면, 초조, 환각, 우울감, 구토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천천히 감량하고 중단해야 한다. 금단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환각 작용을 하는 물질
뇌세포에 신경 독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영구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정신착란, 집중력 감퇴, 기억력 손 상, 우울증, 불안과 불면 등의 정신적 증상과 침 흘림, 땀, 눈물, 감각이상, 동공 확대, 손 떨림 등의 신체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각성 작용을 하는 약물
불면, 불안, 호흡장애, 상복부 통증, 구토나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우울감, 긴장감, 공격성, 두통, 떨림, 감각 이상, 혈압 및 맥박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수면 작용을 하는 약물
어지러움, 두통, 졸음, 건망증, 인지장애, 집중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지만 환각이나 호흡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진정 작용을 하는 약물
피로감, 균형 감각저하, 말더듬, 시야흐림, 기억력과 판단력의 저하, 입마름,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지만 호흡억제, 심혈관 기능 저하 등도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 부작용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발 생하면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법률적 도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를 당했을때 대처법!! (1) | 2025.01.22 |
---|---|
전세사기피해자 요건?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23) | 2023.11.06 |
외부인이 아파트 방문 시 경비실(관리주체)에서 방문객의 개인정보(일반 개인정보)를 요구해도 되는지 (40) | 2023.10.31 |
압수·수색에서 피압수자와 피의자가 다른 경우의 참여권보장 (22) | 2023.10.30 |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에서의 원격지 압수·수색의 적법성 (29) | 2023.10.28 |